Post List

끼에우전(翹傳)

http://www.asiastoryroad.com/story200/k-0024.pdf

주제 시련을 감내하는 지고지순한 사랑
제목 끼에우전(翹傳)
영문제목 The Tale of Kieu
원문제목 Truyện Kiều
주요 캐릭터
투이 끼에우(Thúy Kiều) : 지고지순한 사랑을 꿈꾸지만 파란 많은 운명앞 에 좌절을 겪는다. 투이 번(Thúy Vân) : 언니 투이 끼에우에게 헌신한다.
낌 쫑(Kim Trọng) : 첫사랑 투이 끼에우의 뜻에 따라 동생 투이 번과 살 면서 투이 끼에우를 끝없이 찾는다.

줄거리 브엉(Vương) 씨 집안에 세 명의 자녀가 있었다. 첫째는 투이 끼에우 (Thúy Kiều), 둘째는 투이 번(Thúy Vân), 셋째는 꾸안(Quan)이었다. 투 이 끼에우와 투이 번 모두 재색을 겸비한 처자들이었는데 투이 끼에우가 고을에서 으뜸이었다. 투이 끼에우는 청명날 벌초를 갔다가 우연히 낌 쫑(Kim Trọng)을 만나 서 서로 첫눈에 반하게 되었다. 낌 쫑은 그날 이후로 상사병에 걸려 세상 만사의 즐거움을 다 잊고 투이 끼에우 곁으로 다가가는 일에만 몰두했다. 몇 주 후에 다시 만났을 때 둘은 언약의 징표를 나누어가졌다. 낌 쫑은 여러 번 진한 사랑을 갈구했으나 투이 끼에우가 낌 쫑을 설득하여 순수 한 사랑을 이어나갔다. 낌 쫑이 선산에 제를 지내러 갔을 때 투이 끼에우의 아버지와 동생이 억울한 누명을 쓰고 관가에 갇히게 되었다. 투이 끼에우는 자신의 몸값과 교환하는 조건으로 아버지와 동생을 구해냈다. 낌 쫑과의 언약은 동생 투 이 번에게 넘겨주었다. 투이 끼에우는 마 잠 신(Mã Giám Sinh)과 뚜 바(Tú Bà)가 운영하는 유곽에 넘겨졌다. 투이 끼에우는 손님 접대를 거부하고 칼로 자살을 시도 하나 실패한다. 뚜 바는 서 칸(Sở Khánh)을 시켜서 투이 끼에우와 함께 유곽 탈출을 하도록 꾸민다. 음모인지도 모르고 탈출했던 투이 끼에우는 얼마 못가서 뚜 바에게 잡힌다. 이로부터 투이 끼에우는 유곽녀의 운명을 받아들인다. 유곽에 찾아온 툭 신(Thúc Sinh)은 투이 끼에우와 서로 사랑에 빠진 다. 툭 신은 유곽에 돈을 주고 투이 끼에우를 구해내어 둘째 부인으로 맞 아들인다. 투이 끼에우는 출신 때문에 툭 신의 부모로부터도 인정받지 못 끼에우전(翹傳) - 130 - 하고, 툭 신의 본부인인 호안 트(Hoạn Thư)의 질시 때문에 툭 신과 함께 집을 나온다. 툭 신과 1년 간 함께 살면서 투이 끼에우는 툭 신에게 본부인을 자주 찾아가라고 권한다. 툭 신이 본부인을 찾아갔을 때, 본부인은 사람을 시 켜서 툭 신과 투이 끼에우가 살던 집에 불을 지르고 투이 끼에우를 집으 로 데려오도록 한다. 본부인은 투이 끼에우를 하녀로 부리면서 폭행을 일 삼는다. 툭 신은 본부인의 행동을 눈치챈다. 투이 끼에우가 절에 들어가길 청하자 본부인도 동의하고 툭 신도 허락 한다. 투이 끼에우는 불자인 박 바(Bạc Bà)의 집에 잠시 머문다. 그런데 박 바는 뚜 바와 동업자였다. 박 바는 자기의 조카 박 한(Bạc Hạnh)과 결혼하라고 속인 다음 투이 끼에우를 유곽에 팔아넘긴다. 유곽에 놀러온 뜨 하이(Từ Hải)가 돈을 주고 투이 끼에우를 유곽에서 구해낸다. 육 개월을 함께 살고 나서 뜨 하이는 반정민란에 갔다가 장수 가 되어서 돌아온다. 둘은 성대한 혼례를 치른다. 뜨 하이가 투이 끼에우 가진 지난 날의 원한과 은혜를 갚아준다. 어느 날 조정의 장군 호 똔 히엔 (Hồ Tôn Hiến)에게 뜨 하이가 죽자 투이 끼에우는 뜨 하이의 장례를 치러주고 강물에 뛰어든다. 한편 선산에 제를 지내고 돌아왔던 낌 쫑은 투이 끼에우의 뜻에 따라 투이 번과 결혼하여 살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낌 쫑은 언제나 투이 끼에 우의 행방을 찾았다. 투이 끼에우가 강물에 뛰어들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 낌 쫑은 강가에 갔다가 작 쥬옌(Giác Duyên) 스님을 만난다. 스님으 로부터 투이 끼에우가 어떤 아주머니에게 구출되어 살아났다는 얘기를 듣는다. 15년 만에 낌 쫑과 투이 끼에우가 재회를 한다. 동생 투이 번은 낌 쫑 과 투이 끼에우에게 결혼을 권한다. 낌 쫑은 결혼을 원하지만 투이 끼에 우는 ‘자신은 더 이상 부인으로서의 자격이 없다.’며 친구로 남자고 한다.

선정의의
베트남을 대표하는 고전소설로 특히 우리의 이두문학과 비슷한 쯔놈문자 로 쓰인 문학 중에서는 가장 탁월한 작품으로 손꼽힌다. 중국의 소설가 청심재인의 소설 <김운교(金雲翹)전>을 베트남의 소설가 완유(1766 ~ 1820)가 1814년에 쯔놈문자로 번역한 <취교전(翠翹傳)>은 산문 · 직역 번역이 아니라 운문 · 축약 번역이며, 부분 부분을 베트남의 정서에 맞게 수정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독자적인 생명력을 갖고 베트남 사람들의 영혼을 사로잡았으며, 베트남의 고전 소설로 자리매김하 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심청전처럼 아버지를 위하여 몸을 팔게 된 주 인공 끼에우가 겪는 애절하고 파란만장한 사연이 베트남 인들의 심금을 깊이 울린다. 중국에서는 ≪금운교≫가 고전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 하였으나, 베트남에서 응우옌 주의 작품 ≪쭈옌 끼에우≫가 나오자 많은 사람들이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이에 중국에서도 ≪금운교≫에 대하여 새롭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그만큼 운문을 문학의 중심에 두고 내면 심리 표현을 중시하는 베트남의 문학 전통이 살아숨쉬는 소설로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는다. 완유는 베트남의 언어와 풍습 속에 공동문어문학의 유산이 녹아들게 했 다. <취교전>은 무엇보다 언어사용 면에 뛰어나서 민중의 언어와 정통문 학의 언어를 훌륭하게 결합했다는 평가, 곧 민족어와 공동문어를 성공적 으로 결합함으로써 탁월한 작품이 될 수 있었다.

[주1] <취교전>은 베트남사람들의 내면으로 들어가는 통로이다. 동시에 동아시 아인의 내면을 비교해서 이해하는 길로 들어서게 해주는 입구이기도 하 다.
[주2]

특기사항
■ [소개] The Tale of Kieu http://en.wikipedia.org/wiki/The_Tale_of_Kieu http://vi.wikipedia.org/wiki/Truy%E1%BB%87n_Ki%E1%BB%81u http://www.deanza.edu/faculty/swensson/kieu.html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71&docId=730588&mobile&cat egoryId=1097 (네이버 지식백과) 베트남어 판본의 원제목은 ‘창자를 끊어내는 새로운 소리’ 즉, <도안 쯔 엉 떤 타인>(Đoạn Trường Tân Thanh, 斷腸新聲, 단장신성)이었으나 <쭈엔 끼에우>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졌다. 6.8조의 연서체로 분량은 총 3,254행에 달한다. 베트남의 초중고 정규과정에서 반복해서 배운다.
■ [소개] 응우옌 주(Nguyễn Du, 阮攸 ; 1766–1820) ‘민족대시인’으로 불림. 베트남의 레(黎) 왕조(1428∼1788)에서 조상 대 대로 정치와 학문을 주도한 대귀족의 후예로 1766년 1월 3일 탕 롱(하노 이의 옛 이름)에서 출생하고 성장하였다. 레 왕조가 멸망하자 레 왕조 복 위운동에 연루되어 약 3개월간 구속 수감되었다가 석방되어 향리에 은거 하였다. 응우옌 주는 베트남의 마지막 왕조를 세운 지아 롱(嘉隆) 황제가 제위에 오른 1802년에 부름을 받아 조정에 출사하였다. 1813년에는 정 사(正使)로 천거되어 중국에 다녀왔다. 응우옌 주는 베트남문학사에 귀중 한 문학작품을 남겼는데, 한문으로 된 3개의 시집 ≪청헌시집(淸軒詩集) ≫, ≪남중잡음(南中雜吟)≫, ≪북행잡록(北行雜錄)≫이 있고, 쯔놈으로 쓰여진 ≪쭈옌 끼에우≫는 응우옌 주의 재능이 총망라된 일생일대의 결 정체이자, 베트남 최고의 문학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평화위원회는 1965년 12월 응우옌 주 탄신 200주년을 기념하여 응우옌 주를 세계의 문화인물로 공인하였다. 베트남에는 현재 그의 이름을 딴 작가양성의 산 실 ‘응웬 주’ 창작학교가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참고)
■ [논문] 관련 연구 - 최귀묵, 「『翠翹傳詳註』를 통해서 본 <金雲翹>의 면모」, 『고전문 학과 교육』 제4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2. - 전혜경, 「베트남 문학작품에 나타난 베트남 여성상-20세기 전반기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 제9호,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3. - 조동일, 「번역으로 맺어진 관계」,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문 학』, 지식산업사, 1999. [주1] 최귀묵, 『베트남문학의 이해』, 창비, 2010. p.489. 여기서 ‘공동 문어문학’이란 조동일의 개념으로, 한문이 동아시아의 중세에서 차지하던 비중을 떠올리면 된다. 산스크리트 문명권, 팔리어문명권, 아랍어문명권, 라틴어문명권도 가능하다. 그에 따르면, 중세문학은 문명권 전체의 공동 문어문학이 민족어문학과 공존한 이중구조였다. (조동일, 『공동문어문학 과 민족어문학』, 지식산업사, 1999.) [주2] 최귀묵, 위의 책, p.500. 중국 청심재인의 <김운교전>은 베트남에 <취교전>으로 번역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는 18세기 중엽에 단편소 설로 번역 소개되었고, 일본에서도 1763년에 <통속김운교>로 번역 소개 되었다. 조동일은 이에 주목, <취교전>을 자신이 펼치는 공동문어문학 이론의 좋은 사례로 삼는다. 이에 대해서는 조동일, 『하나이면서도 여럿 인 동아시아문학』, 지식산업사, 1999. 참고.

활용사례
■ [뮤지컬] The Tale of Kieu Musical http://www.taleofkieu.com/
■ [영화] Saigon Eclipse(2007) http://www.saigoneclipse.com/ 가족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젊은 베트남 여성의 운명을 그린 영화로, <쭈엔 끼에우>에서 모티프를 따왔다. 여주인공의 이름도 끼에우이다.
■ [우표] Kim Van Kieu http://truyenkimvankieu.blogspot.kr/2010/04/68-kim-van-kieu-nhac-q uach-vinh-thien.html

연관정보
■ [도서] Vũ Ngọc Khánh 저,『Truyện Kiều』, Văn Hóa Thông Tin, 1996
■ [도서] Việt Chương 저,『Truyện Kiều』, Văn Hóa Thông Tin, 2000
■ [도서] Hoài Hương 저,『Truyện Kiều Những Lời Bình』, Văn Hóa Thông Tin, 2000
■ [도서] Vũ Văn Kính 저,『Truyện Kiều』, Văn Nghệ TP.Hồ Chí Minh, 2001
■ [도서] 응우옌 주 저, 안경환 역, 『쭈엔 끼에우』, 지만지고전천줄, 2008.(1,810행 발췌본)
■ [도서] 응우옌 주 저, 안경환 역, 『쭈엔 끼에우(翹傳)』, 문화저널, 2004.
■ [도서] 완유 저, 최귀묵 역, 『취교전』, 소명출판, 2004.
■ [도서] 최귀묵 저, 『베트남문학의 이해』, 창비, 2010. pp.470-500.
■ [도서] Du Nguyêñ, Sanh Thông Huỳnh, Huỳnh Sanh Thông, The - 134 - Tale of Kièu: A Bilingual Edition of Truyện Kièu, Yale University Press, 1983. 자세한 내용은 http://www.deanza.edu/faculty/swensson/kieu.html
■ [도서] Mary Stickney, The Tale of Kieu, River of Pearls, iUniverse, 2004.

키워드
쭈엔 끼에우, 끼에우 전, 응우옌 주, 춘향전, 불운한 사랑, 몸값, 유곽, 자살, 취교전, 김운교전, 낌 번 끼에우, 완유, 희생, 투이 끼에우, 투이 번, 낌 쫑